매드업은 그동안 디지털 마케팅 시장에서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인 애드테크(Ad-tech) 기업으로 조금씩 이름을 알려왔는데요.
매드업이 이렇게 빠른 성장세를 만들 수 있었던 소위 ‘킥’이 있다면 단연 기술(tech)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마케터들이 불필요한 반복 업무 대신 기획과 전략 수립 등 고부가 가치의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들이 테크사업부에서 적극적으로 개발되어 왔고, 이 기술을 기반으로 한 솔루션은 매드업 내부에서 다양한 광고주 캠페인을 대상으로 좋은 성과를 보여왔어요.
그리고 마침내 2024년 7월, ‘LEVER Xpert(레버 엑스퍼트)’란 이름으로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마케팅 자동화 SaaS 솔루션으로 출시되었습니다. 
LEVER Xpert의 시작부터 비전까지, LEVER Xpert에 대한 모든 이야기를 세 개의 아티클에 걸쳐 들려드리려고 해요. 첫 이야기는 AdOps Platform팀 Tech Lead 제웅님과 Data Platform팀 Tech Lead 재연님이 함께해 주셨습니다!
마케터의 시간을 더 가치있게 만드는 사람들
Part.1 - LEVER Xpert가 세상에 나오게 된 이유 / Tech Lead 김제웅, Tech Lead 백재연
Part.2 - LEVER Xpert와 테크사업부의 현재 상황 / Tech Lead 이태훈
Part.3 - LEVER Xpert, 앞으로의 비전 / Tech Lead 정승원
마케터의 시간을 더 가치있게 만드는 사람들 Part.1
LEVER Xpert가 세상에 나오게 된 이유
Adtech, Martech 등 마케팅에서 tech라는 단어가 많이 등장하는데요. 디지털 마케팅에 있어 Tech는 왜 필요할까요?
TV나 신문 같이 기존의 레거시 미디어들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광고를 제공했다면, 디지털 마케팅은 타겟을 설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큰 차이가 있어요. 그렇다보니 어떤 사람이 어떤 광고를 원하는지, 어떤 광고를 어디에 어떻게 보여주면 더 높은 효율을 가져오는지가 무엇보다 중요한 열쇠거든요.
타겟에게 맞는 광고를 제공하려면 결국 다양한 소재와 대량의 광고 생성 및 운영이 반드시 필요하고, 디지털 마케팅의 특성 상 다양한 데이터들을 수집할 수 있다 보니까 데이터 수집과 분석의 중요성이 커지게 되는 거죠. 최근 크게 이슈가 되고 있는 ML이나 AI와도 맞물리면서 ‘디지털 마케팅 시장에서 Tech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라는 생각이 들어요.
매드업에서는 초창기부터 테크사업부를 중심으로 여러 솔루션이 개발되어 왔었잖아요. LEVER Xpert 이전에는 어떤 기술들이 있었나요?
테크 사업부에서 만든 기술과 솔루션들은 정말 다양한데요.
첫 번째 솔루션은 *애드 네트워크 서비스였던 매드 네트워크였습니다. 매드 네트워크를 통해 테크사업부는 독자적인 솔루션으로 디지털 마케팅 시장에서 다양한 지면에 국내외의 여러 광고주들의 광고를 제공하고, 이를 중계하며 최적의 지면을 통해 최고의 효율을 낼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였습니다.
*애드 네트워크(Ad Network): 광고 캠페인을 시작하려는 광고주와 웹사이트 및 앱 같은 디지털 에셋의 광고 지면을 판매하려는 매체사를 연결해주는 서비스
그럼 매드 네트워크가 매드업 최초의 애드테크 솔루션이었군요.
그렇다고 할 수 있죠. 매드 네크워크를 운영하면서 자연스레 디지털 광고의 수많은 매체와 광고들을 빠르게 다루어야하는 어려움이 발생하게 됐어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한 솔루션이 자동화 솔루션이었습니다. 자동화 솔루션은 많은 AE들의 주요 업무중 하나였던 리포트 자동화부터 광고 대량생성, 피드 생성, 키워드 광고 모니터링 등 다양한 업무들을 지원할 수 있게 개발되었어요.
또한, AE들이 잠든 순간에도 자동화 봇을 통해 광고를 24시간 원하는 목표대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광고 최적화 솔루션, 다양한 광고주들의 요구사항에 대응할 수 있도록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광고 분석 솔루션 등도 이때 함께 개발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매드업의 AE들은 주어진 정보만 소비하기만 하기보다는 주체적으로 데이터를 통해 인사이트를 발굴하고 이를 통해 정보를 생산하는 생산자로서의 주도적인 역할도 할 수 있게 된 거죠.
그 과정에서 어마어마한 데이터가 쌓였겠네요. 
맞아요. 그래서 더 많고 더 거대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만들었습니다. 특히, 수많은 광고주들의 다양한 미디어로부터 긴 기간의 광고 데이터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수집하기 위해 개발한 수집 플랫폼인 프리즘은 이제는 매드업의 모든 솔루션 개발의 중심이 되었으며, AI와 ML이 중심이 된 현재 매드업의 미래를 만드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이런 이야기를 듣고 나니까, LEVER Xpert는 그동안 매드업에서 쌓아온 기술력과 노하우의 집합체라는 생각이 들어요.
그렇죠. LEVER Xpert의 목표는 “테크사업부에서 만든 기술과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디지털 광고 전문가의 업무 환경을 개선하고 혁신하는 것”이거든요.
그동안 테크사업부는 AE들로부터 다양한 요구사항을 들었고, Time Study를 통해 AE들이 어떤 업무에 많은 시간을 소요하고 어려움을 느끼는지를 데이터화하며 AE분들을 지원할 수 있는 여러 솔루션을 개발해 왔는데요. 이 과정에서 쌓은 기술과 노하우가 있었기 때문에 세울 수 있었던 목표가 아닐까 싶어요.
매드업의 내부 AE분들 뿐만 아니라, LEVER Xpert를 사용하는 모든 디지털 마케터라면 누구나 반복적인 데이터 수집이나 대량 광고 세팅과 같은 단순 업무에서 벗어나, 고객 분석과 데이터 분석, 인사이트 도출과 같은 더 고도화된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될 거예요. 더 적은 비용과 시간으로도 더 높은 광고 효율을 만드는 것이 LEVER Xpert가 지향하는 디지털 마케팅 시장의 혁신입니다.
LEVER Xpert 출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특히 주력하신 부분도 있다면 어떤 부분일까요?
주력했던 부분 중 하나는 SaaS 제품에 맞는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부분이었어요.
가장 중요하고 기본이 되는 요소는 Isolation(격리)였습니다. SaaS 제품은 고객 간 간섭이 존재하면 절대 안 되기 때문에 컴퓨팅 리소스의 격리부터 데이터 격리까지 빠짐없이 신경 썼습니다. 개발 레벨에서는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했어요. 방대한 데이터를 다루고, 복잡한 로직이 많다 보니 허술한 코드는 과하게 컴퓨팅 리소스를 점유하게 되는데요. 기능이 정확하고 빠르게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코드에 신경을 많이 썼습니다. 이렇게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은 고객 수가 많아지더라도 문제가 없도록 확장성과 가용성을 보장하는 아키텍처 위에서 동작됩니다.
그 결과로 LEVER Xpert의 모든 센터와 온보딩된 고객들은 서로의 간섭이 없는 격리된 환경을 사용할 수 있게 됐어요.
쉽지 않은 일이었을 것 같은데, 어떤 문제가 있었고, 어떻게 해결하셨나요?
스타트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장애와 비용인데요. 버그가 발생하지 않는 소프트웨어는 없다는 말도 있잖아요. 버그가 발생하더라도 빠르게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대시보드와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떠난 고객은 돌아오지 않는다는 걸 잘 알고 있으니까요.
앞서 확장성과 가용성을 보장하는 아키텍처에 대해 설명드렸는데, 그렇다고 무작정 컴퓨팅 파워를 사용하면 클라우드 비용이 폭발하게 돼요. 비용 효율적인 아키텍처를 위해 스팟 인스턴스와 파워 세이빙 전략을 적절히 고려했고 컴퓨팅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자원을 모니터링하며 애플리케이션(pods)이 적절한 노드에 배치될 수 있도록 설정했습니다.
기능 개발에 있어서도 챌린지가 있었을 듯 해요.
결국 저희의 고객은 마케터, 즉 AE거든요. 인프라스트럭쳐 위에 올라가는 각 센터들은 모두 AE 업무의 고충에 대한 공감을 바탕으로 만들려고 했고, 그래서 AE 업무를 지켜보며 간접 체험하기도 했어요.
스티브 잡스의 유명한 말 중에 “사람들은 본인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모른다” 라는 말이 있는데요. 테크사업부에서 청취한 VoC를 바탕으로 여러 기능들을 MVP 형태로 빠르게 배포하고, AE분들이 빠르게 테스트해보신 뒤 주신 의견을 바탕으로 디벨롭 하는 방법을 택했어요. 다행히 매드업에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글로벌에서도 활약하는 최고의 AE 구성원이 함께해 주고 계셔서 이 과정이 아주 순조로웠답니다
가장 유의미한 유저가 가장 가까이 계셨던 셈이죠.
MVP로 빠르게 배포 후 AE분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디벨롭!
AE 분들 말고도 또 소통했던 구성원분들이 계셨나요?
가장 많이 소통했던 건 당연하게도 테크사업부의 모든 구성원들인데요. 매드업 테크사업부는 스크럼 방식으로 업무를 진행하고 있어요. 프로덕트 오너(PO), 프로덕트 디자이너(PD)는 당연하고 LEVER Xpert의 여러 기능들이 서로 맞물려서 돌아가는 구조가 있다 보니 내가 속한 스크럼의 멤버뿐만 아니라 다른 스크럼 팀과도 소통하고 협업할 일이 많았습니다. 그 결과로 빠르게 유형의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었습니다.
1편에서는 LEVER Xpert의 출시 배경에 대해 소개해 드렸는데요. 다음 편에서는 LEVER Xpert의 기능에 대해서 자세히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다음 글도 기대해주세요 